
▶ 회사명 | S사 |
▶ 소재지 | 경기도 시흥시 |
▶ 주요품목 | PCB검사 |
▶ 컨설팅 요구사항 | - 검사 프로세스 품질 향상 |
▶ 주요과제 추진실적
생산공정 내 종이 사용 최소화를 통한 부유성 이물질 제거로 반품율 1% 감소 | - 제품 이동 Box 내 이물 개선 - 설비 내 Cable veyor에 의한 이물 개선 - 오염된 부자재에 의한 이물 개선 - Brush 관리 상태 확인 개선 - 작업 Table 및 설비 내부에서 이물질 개선 - 전공정 사무기기 관리 개선 - 비가동 설비 청소 미흡에 따른 이물 발생 개선 |
생산/품질 관리 문서 개선을 통한 문서 관리 작업시간 30% 감소 | - 공정별 불필요 및 중복 문서 개선 - 고객사 Audit 관련 Check sheet 통합 - 각 공정 업무일지 수기 -> 엑셀화 변경 - LRR 집계 방법 자동화 - 제품 수율 자동화 및 LRR 자동화 - 제품 성적서 자동화 계산 - 수율/LLR 관리 양식 자동화 |
검사 작업 품질 수준 향상을 통한 LRR감소로 재작업율 5% 감소 | - Crack 발생 개선 - RM 이후 Gate검사방법 변경 - RM 이후 QA Gate 검사로 불량 유출 Risk 최소화 - Missing SR 검출 방법개선.(FVI) - OSP 미 도금 검출 조도 개선.(FVI) - 동노출 검출 방법 개선 (FVI) - OSP 미 도금 검출 개선 (FVI) - SR변색 검출 조명조건 개선 (FVI) - SR 변색 검출력 개선(FVI,FQA) - SR 전사 및 이물 검사 방법 표준화 - VSR ,FVI 검사원 SR 검사원 Spec 전체 교육 시행 |
▶ 재무효과
- 반품율 감소 + 문서작업시간 감소 + 검사 공정 재작업율 감소 = 64,800,000 원/년
▶ 정성적 효과
- 공정내 부유물 관리 방안 향상으로 고객 신뢰도 향상
- 생산작업자 근무 만족도 향상 및 고객 컴플레인 대응 능력 향상
- 검사 작업자 검사 능력 향상 및 검사원 재현성 및 반복성 향상
요구사항
▶ 주요과제 추진실적
생산공정 내 종이 사용 최소화를 통한
부유성 이물질 제거로 반품율 1% 감소
- 제품 이동 Box 내 이물 개선
- 설비 내 Cable veyor에 의한 이물 개선
- 오염된 부자재에 의한 이물 개선
- Brush 관리 상태 확인 개선
- 작업 Table 및 설비 내부에서 이물질 개선
- 전공정 사무기기 관리 개선
- 비가동 설비 청소 미흡에 따른 이물 발생 개선
생산/품질 관리 문서 개선을 통한
문서 관리 작업시간 30% 감소
- 공정별 불필요 및 중복 문서 개선
- 고객사 Audit 관련 Check sheet 통합
- 각 공정 업무일지 수기 -> 엑셀화 변경
- LRR 집계 방법 자동화
- 제품 수율 자동화 및 LRR 자동화
- 제품 성적서 자동화 계산
- 수율/LLR 관리 양식 자동화
검사 작업 품질 수준 향상을 통한
LRR감소로 재작업율 5% 감소
- Crack 발생 개선
- RM 이후 Gate검사방법 변경
- RM 이후 QA Gate 검사로 불량 유출 Risk 최소화
- Missing SR 검출 방법개선.(FVI)
- OSP 미 도금 검출 조도 개선.(FVI)
- 동노출 검출 방법 개선 (FVI)
- OSP 미 도금 검출 개선 (FVI)
- SR변색 검출 조명조건 개선 (FVI)
- SR 변색 검출력 개선(FVI,FQA)
- SR 전사 및 이물 검사 방법 표준화
- VSR ,FVI 검사원 SR 검사원 Spec 전체 교육 시행
▶ 재무효과
- 반품율 감소 + 문서작업시간 감소 + 검사 공정 재작업율 감소 = 64,800,000 원/년
▶ 정성적 효과
- 공정내 부유물 관리 방안 향상으로 고객 신뢰도 향상
- 생산작업자 근무 만족도 향상 및 고객 컴플레인 대응 능력 향상
- 검사 작업자 검사 능력 향상 및 검사원 재현성 및 반복성 향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