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▶ 회사명 | C사 |
▶ 소재지 | 경기도 안성시 |
▶ 주요품목 | 반도체 부품 세정 및 코팅 |
▶ 컨설팅 요구사항 | - 사내 에너지 관리 인식제고 및 에너지 관리체계 구축 - 사업장 에너지 사용에 대한 배출원 파악 - 사업장 에너지 목표 및 개선 프로그램 계획 수립 -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해 주요 에너지원 식별 및 관리방안 수립 |
▶ 주요과제 추진실적
온실가스 인벤토리 정확성 | - 온실가스 배출 활동 및 배출원 식별 - 온실가스 배출량 자동 산정 Tool 개발 ∙ 사용자의 배출원별 활동 데이터 입력만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자동으로 산정하는 Tool(엑셀) 개발 ∙ 사내 해당 데이터 수집 및 가공방법 안내
-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업무 절차서 ∙ 회사 대상 배출원, 배출활동, 적용 산정식 안내 ∙ 배출량 산정식,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절차 규정 |
에너지 절감 실행계획 수립 건수 | - 사내 설비 정보 업데이트 및 계통정보 정리 ∙ 현장확인을 통한 설비리스트 작성 ∙ 전력계통도 활용 에너지맵 작성 - 에너지 성과지표 검토 ∙ 확보 가능한 데이터와 에너지 사용량 간의 상관도 분석 ∙ 성과지표 적용 변수로는 매출과 온도를 적용하는 것으로 논의 - 설비 에너지 절감 계획 - 운영 개선에 의한 절감 계획 |
ISO 50001인증 추진 | - 에너지 경영 관리 조직 구성 ∙ 에너지 사용 설비 담당부서 모두 포함 ∙ 에너지경영책임자, 에너지경영담당자, 부서별 실무자, 내부검증팀 구성 및 담당자 지정 완료 - 에너지 관리 절차서 제정 - 에너지경영시스템의 실질적 이행을 위한 업무 프로세스별 증적 양식 작성 및 담당자 교육 ∙ 이행을 담보하기 위한 기록 양식 개발 및 실무자 작성 교육 - 연간 에너지경영시스템 평가 계획 수립 |
▶ 재무효과
- 전기 판넬 內 덴가드 설치에 의한 전력소모 감소 : 10,710,000 원/년
- 사무실 컴퓨터 및 모니터 가동 시간 제어 의한 소모량 감소 : 631,800 원/년
▶ 정성적 효과
- 자사의 온실가스 배출량 규모 파악
- 자체적으로 코미코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업무 수행 능력 구비
- 에너지 관리업무 체계 구축
- 에너지 평가체계 기반 확립
- 지속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업무체계 확립
- 주무부서(시설팀)외에 에너지 사용설비 해당부서 참여로 인한 전사적 참여 조직 구성
요구사항
- 사업장 에너지 사용에 대한 배출원 파악
- 사업장 에너지 목표 및 개선 프로그램 계획 수립
-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해 주요 에너지원 식별 및 관리방안 수립
▶ 주요과제 추진실적
- 온실가스 배출량 자동 산정 Tool 개발
∙ 사용자의 배출원별 활동 데이터 입력만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자동으로 산정하는 Tool(엑셀) 개발
∙ 사내 해당 데이터 수집 및 가공방법 안내
-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업무 절차서
∙ 회사 대상 배출원, 배출활동, 적용 산정식 안내
∙ 배출량 산정식,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절차 규정
∙ 현장확인을 통한 설비리스트 작성
∙ 전력계통도 활용 에너지맵 작성
- 에너지 성과지표 검토
∙ 확보 가능한 데이터와 에너지 사용량 간의 상관도 분석
∙ 성과지표 적용 변수로는 매출과 온도를 적용하는 것으로 논의
- 설비 에너지 절감 계획
- 운영 개선에 의한 절감 계획
∙ 에너지 사용 설비 담당부서 모두 포함
∙ 에너지경영책임자, 에너지경영담당자, 부서별 실무자, 내부검증팀 구성 및 담당자 지정 완료
- 에너지 관리 절차서 제정
- 에너지경영시스템의 실질적 이행을 위한 업무 프로세스별 증적 양식 작성 및 담당자 교육
∙ 이행을 담보하기 위한 기록 양식 개발 및 실무자 작성 교육
- 연간 에너지경영시스템 평가 계획 수립
▶ 재무효과
- 전기 판넬 內 덴가드 설치에 의한 전력소모 감소 : 10,710,000 원/년
- 사무실 컴퓨터 및 모니터 가동 시간 제어 의한 소모량 감소 : 631,800 원/년
▶ 정성적 효과
- 자사의 온실가스 배출량 규모 파악
- 자체적으로 코미코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업무 수행 능력 구비
- 에너지 관리업무 체계 구축
- 에너지 평가체계 기반 확립
- 지속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업무체계 확립
- 주무부서(시설팀)외에 에너지 사용설비 해당부서 참여로 인한 전사적 참여 조직 구성